
2024년 5월부터 시행된 교통비 지원 제도인 K패스카드 다들 들어보셨나요? 사용한 교통비를 1달 기준으로 최대 53%까지 환급해 주는 좋은 제도입니다. 저는 지방에 거주하기 때문에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잘 이용해 오다가 K패스카드로 전환이 되어 잘 사용하고 있고 서울에 살고 있는 동생은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카드를 비교 분석해 보았습니다. 아래내용 확인 후 더 이득이 되는 카드 선택하셔서 고물가시대에 교통비 절약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기후동행카드 vs K패스카드 비교표기후동행카드요금 - 사전결제 65,000원 (따릉이 불포함 62,000원)지원대상 - 제한없음교통수단 - 서울시 지하철, 버스, 따릉이 + 김포골드라인지원기준 - 무제한지원금액 -..

교통비를 최대 53% 환급해 주는 K패스 교통카드는 환급률은 동일하지만 카드사 별로 전월실적에 따라 금액할인 또는 포인트 적립이 다르다고 합니다. 제가 알뜰교통카드부터 쓰고 있던 알뜰교통 비바 e 플래티늄 하나체크카드는 연회비는 없고 대중교통 15% 캐시백 혜택적용이 되었습니다. 대체적으로 체크카드는 연회비는 없고 전월실적 20~30만 원을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 새롭게 출시된 K패스 카드사별 혜택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두었으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K패스란? 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 등을 매월 15회 이상 이용하는 경우 일반인 월 교통비 지출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의 금액을 최대 60회까지 다음 달 환급해 주는 교통비 지원 시스템입니다...

정부가 국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5월 1일부터 K-패스카드로 대중교통비 20~53%까지 환급받는 제도를 시행한다고 합니다. 저는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잘 이용해오고 있어서 어플을 실행해 보니 K-패스카드로 전환된다는 팝업창이 계속 떠서 오늘 K-패스카드로 전환하였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셨다면 K-패스회원 전환절차를 거쳐 기존에 발급받은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K-패스카드 전환방법 및 신규가입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K-패스카드 전환방법 ① 알뜰교통카드 어플 실행 후, 상단 K-패스 회원 전환 안내 배너 클릭 ② K-패스 회원 전환 안내문 읽어보기 ③ 주소지 검증 및 현재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 번호 입력, 개인정보 동의 후 K-패스 전환 동의 클릭 ④ 회원가입 완료 ..